코인 투자 용어정리 2탄(디파이 Defi 관련)

코인 투자 용어 정리 2탄 입니다. 지난 코인 투자 용어정리 1탄에서는 암호화폐, 비트코인, 거래소 등과 같이 기본적인 용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 2탄에서는 디파이(탈중앙화 금융)에서 사용 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코인 투자 용어정리 2탄

1. 디파이(Decentralize financial)

디파이란 탈중앙화 금융의 약자로, 주로 암호화폐를 담보로 걸고 일정금액을 대출 받거나 다른 암호화폐를 제공받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디파이 서비스는 체인링크, 에이브, 메이커다오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도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생겨나는 추세입니다.

2. 스테이킹(Staking)

스테이킹은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맞기고, 그에 따른 보상으로 대가를 받는 것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은행에 현금(=암호화폐)을 저금하고 이자(=보상)를 받는것과 같습니다.

보다 정확한 방식은 내가 맡긴 암호화폐로 트랜젝션을 검증하는데 사용되고, 이후 내가 맡긴 암호화폐 또는 또 다른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받는 것입니다.

3. LP (Liquid Provider)

LP는 유동성 공급자입니다. 유동성 공급자는 DEX(탈중앙화거래소)에서 빠른 거래를 위해 나의 암호화폐를 맡기고 거래 수수료 등을 제공 받습니다.

4. 스왑 (Swap)

암호화폐의 교환과정을 스왑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원화를 달러로 바꾸는 것과 같이, 비트코인을 테더로 바꾸는 것과 같습니다. DEX에서 바로 교환 거래가 가능하며, 바이낸스에서 컨버트서비스를 이용하여 스왑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스왑스캐너, 클레이스왑에서 스왑을 지원합니다.




5. 브릿지

블록체인은 하나의 생태계가 아닌 각각의 다른 환경에서 개발되기 때문에 상호 교환이 원칙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각각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것이 브릿지입니다. 서로 다른 장소를 연결하는 다리와 같이 다른 생태계를 서로 연결해주며, 정보와 자산이 이동할 수 있게 합니다.

6. TVL (Total Value Locked)

TVL은 디파이에 예치되어 있는 자산의 총합을 가리킵니다. 디파이 플랫폼에서 TVL이 높으면 규모와 유동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7. 다오 (DAO)

다오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는 공통의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정해진 프로토콜(규칙)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리고 보상을 받는 조직입니다.

8. NFT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 토큰을 가리킵니다. 교환이 가능한 코인과 달리 각 토큰에 고유한 값이 지정되어 서로 대체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복사나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NFT로는 BAYC가 있습니다.

9. P2E

P2E는 Play to Earn의 약자로 게임을 하며 돈을 번다는 뜻입니다. 기본적으로 P2E 게임은 블록체인에서 개발 되며, 게임을 하는 행위 자체가 블록체인 시스템을 검증하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따라서 검증에 따른 보상을 토큰의 형태로 제공받습니다.

10. M2E

Move to Earn의 약자로 걷거나 뛰면서 수익을 버는 행위를 말합니다. P2E와 마찬가지로 행동을 통해 토큰을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M2E로는 스니커즈, 슈퍼워크 등이 있습니다.

11. 러그풀(Rug Pull)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러그풀은 사기를 의미합니다. 어떤 암호화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회사나 팀이 갑자기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도망가면서 투자금을 가로채는 행위입니다.

마치며

오늘은 코인 투자 용어정리 2탄에 대해 안내해 드렸습니다. 주로 디파이 또는 NFT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하셨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수: 0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