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투자 용어정리 1탄(암호화폐부터 김프까지)

이번 글은 코인 투자 용어정리에 대한 글입니다. 암호화폐 거래를 하기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들을 설명과함께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최근 블랙록, 피델리티 등 대형 투자은행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을 하며 코인 시장이 점점 제도권으로 나오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ETF가 승인이 되면 앞으로 가상자산 시장은 폭발적인 인기가 있을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때 코인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용어를 알면 투자할 때 많은 도움이 됩니다.

코인 투자 용어정리에 대해 밑에서 하나하나 설명 드리겠습니다.

코인 투자 용어정리 1탄

1. 암호화폐

보안을 위해 암호화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분산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디지털 통화

2. 블록체인

여러 컴퓨터 또는 노드에서 트랜젝션을 기록하고 확인하는 분산 원장 기술. 블록체인 기술로 암호화폐의 투명성과 보안 및 불변성을 보장합니다.

3. 비트코인(Bitcoin)

익명의 개인 또는 그룹이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가명으로 만든 최초이자 가장 잘 알려진 가상화폐입니다. 채굴수량이 한정되어있어 디지털 금이라고도 불리며 가치 저장소이자 교환 매체 역할을 합니다.

2024년 비트코인 반감기 안내

4. 알트코인(Altcoin)

비트코인 이외의 모든 암호화폐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이더리움, 리플, 폴리곤, 아발란체 등이며 갯수는 수백 수천개가 있습니다.

보통 비트코인보다 가격이 낮고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공격적인 투자자들이 많이 거래하는 코인입니다.

5. 거래소

암호화폐를 사고팔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중앙화된 거래소(CEX)와 탈 중앙화된 거래소(DEX)로 나뉩니다.

  • 중앙화 거래소: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크라켄 등
  •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 팬케이크스왑, 클레이스왑 등




6. 지갑

암호화폐를 저장, 전송,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도구 또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지갑은 소프트웨어 지갑(메타마스크, 카이카스, 클립)과 하드웨어 지갑(렛저) 형태가 있습니다.

7. ICO(Initial Coin Offring)

주식 상장과 같이 암호화폐 자금조달을 위해 코인 거래소에 상장하는 방식입니다.

8. FOMO(Fear Of Missing Out)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암호화폐가 폭등할 때 잠재적인 이익을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말합니다. 보통 포모가 온다고하며 충동적이고 비합리적인 투자가 종종 일어납니다.

9. FUD(Fear, Uncertainly, and Dubt)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패닉이나 불안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부정적이거나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퍼트리는것을 말합니다. 주식시장에서 시세조작을 위한 가짜뉴스 발행과 같습니다.

10. DYOR(Do You Own Research)

암호화폐를 투자할 때 타인의 말을 듣고 결정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해당 암호화폐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라는 뜻입니다.

11. 고래(Whale)

고래란 대량의 암호화폐를 가지고있는 투자자를 말합니다. 주식시장의 대주주 개념입니다. 한번 거래할때 많은양의 거래가 일어나는만큼 고래의 움직임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12. 김치프리미엄

한국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암호화폐 가격과 해외 거래소의 가격 차이가 얼마나 높은지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보통 김치프리미엄이 붙었다고 하면 해외보다 국내에서 더 비싸게 거래되는 암호화폐 입니다. 반대로 국내 시세가 해외보가 낮을때 ‘역프’ 라고 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코인 투자 용어정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편에서는 일반적인 용어를 알아봤으며, 더 많은 용어가 생겨나고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다음 글에서 추가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하셨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수: 0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